1. 가상돔에 업데이트
우선 가상의 DOM은 실제 DOM의 복사본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.
말 그대로 가상의 돔이기 때문에 화면에 아무것도 렌더링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변경할 때마다 DOM API를 호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.
2. 추후 실제 dom 과 sync
Virtual DOM이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변경 사항들을 먼저 반영한 뒤 기존 DOM과 비교 후 변경된 사항만을 DOM에 전달해 줍니다.
즉 실제 DOM의 렌더링 횟수를 줄여주므로 성능에 적은 영향을 주게 되는 것입니다.
'기술 정리 > v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ue js] mvvm 란? (0) | 2023.03.07 |
---|---|
vue js 란? 왜 쓸까? 돔? 가상돔? (0) | 2023.02.27 |